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4 (2023)
pp.327~342

DOI : 10.35983/sikm.2023.74.327

17~18세기 원곡 <영산회상>의 변이 고찰 -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을 중심으로 -

이혜정

(전북대학교 박사과정)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에 수록된 <영산회상>은 두 가지 선율(영산회상, 又)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비슷한 시기의 고악보들에 명시되어 있는 ‘주이복시(周而復始)’나 ‘환입(換入)’과는 다른 모습의 기록 형태 이기에 주목된다. 이에 17~18세기 <영산회상>의 선율을 비교하여, 변이 양상 혹은 경향성에 대해 파악하 고, 나아가 오늘날 ‘상령산’ 선율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17~18세기 고악보 선율을 비교한 결과, 유사 선율 안에서도 변이가 계속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 며, 한 행의 전반부보다는 후반부에, 전체 7행에서도 전반부보다는 후반부에서 선율 변이가 다채롭게 나타 났다. 특히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영산회상> 선율은 『한금신보』, 『대악후보』의 선율과 유사하게 진행 되고, 『금보전(황병기 소장본)』<又> 선율은 『증보고금보』, 『이수삼산재본금보』, 『연대소장금보』의 선율과 서로 유사하게 진행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영산회상> 선율은 18세기 이후 선율과 유사하고, <又>는 17세기 이전 선율과 유사하며, 오늘날 <상령산> 선율 역시 『금보전(황병기 소장 본)』<又> 선율 보다는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영산회상>의 선율을 수용했음을 알 수 있다. 고악보에 기록된 ‘又’는 흔히 ‘파생곡’의 의미로 사용되나,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을 통해 ‘又’에 기록 된 선율이 ‘영산회상’보다 먼저 만들어진 선율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이 기록 된 시기에 당시 두 선율 중 더욱 활발하게 연주되던 선율인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영산회상>의 선율에 ‘영산회상’ 이름을 붙여 먼저 기록하고, 보다 덜 연주되었던 금보전(황병기 소장본)』 <又> 선율에 ‘又’의 곡명을 붙인 형태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17th and 18th Century Original Song

Lee, Hye-Jeong

By comparing the melodies of “Yeongsanhoesang”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e identified the pattern or tendency of variation, and further examined how it influenced the melody of “Sangryeongsan” today. As a result of comparing melodi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t was confirmed that variations continued in similar melodies, and melody variations were more diverse in the second half than in the first half of one row, and in the second half than in the first half in all seven rows.In particular, the melody of the Geumbojeon (collected by Hwang Byung-ki) is similar to that of the Hangum sinbo and the Daeak-hubo, while the Geumbojeon (collected by Hwang Byeong-ki <又> melody is similar to that of the jeungbogogeumbo, the isusamsanjaebon, and the Geumbo, president of Yousei University. The melody of the Geumbojeon (collected by Hwang Byeong-gi) is similar to the melody since the 18th century, and <又> is similar to the melody before the 17th century. Today, the melody of also accepted the melody of the Geumbojeon (collected by Hwang Byung-ki) rather than the melody of the Geumbojeon (collected by Hwang Byung-ki) <又>. The “又” recorded in the old score is often used to mean “derivative song,” but the of the “又” Geumbojeon (Hwang Byung-ki's collection) confirms that the melody recorded in the was made before the “Yeongsanhoesang”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melody of the Geumbojeon (Hwang Byung-ki's collection) , which was the most active of the two melodies at the time, was named and recorded first, and the less-played melody of the Geumbojeon (Hwang Byung-ki's collection) <又> was named <又>.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