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4 (2023)
pp.241~267

DOI : 10.35983/sikm.2023.74.241

<어랑타령> 考

이도현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본고는 함경도 민요 신민요로 알려진 <어랑타령>을 살펴보고, 그 지역적, 갈래적 정체성에 대해 분석 재검토하는 글이다. 알려진 것처럼 <어랑타령>은 20세기 개항 및 철도 건설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였던 동해안 지역 근대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음악이다. 이 시기 <어랑타령>의 대중적인 전파가 활발히 이루어 지면서 함경도민요 신민요라는 인식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현재 확인 가능한 민요자료를 종합하여 볼 때 함경도에서의 <어랑타령> 분포양상이 강원도에 인접한 남쪽으로 한정된 채 상대적으로 소략한 반면, 황해도와 강원도에서 유의미한 분포 및 연행양상을 보여 ‘함경도민요’라는 기존 인식을 의심케 하는 지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여타 신민요의 향토민요로의 수용양상과는 달리 그 시간적 축적이 이루어진 흔적을 통해, ‘신민요’라는 기존의 갈래 인식에 대한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어랑타령>의 노랫말과 음악 분석을 통해 그 지역 갈래적 정체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어랑 타령>의 노랫말으로 유독 황해도 선소리 계통인 <난봉가>류, <도라지타령>류 민요의 노랫말을 가져와 부르는 특징적인 양상을 발견됨을 보았다. 그리고 <어랑타령>에 보이는 선소리패 계열 음악의 특징인 리듬 형의 일시적 변화, 내드름의 출현과 함께 메나리토리 전형과 구별되는 음역 및 선율상의 변화를 살펴보았 다. 마지막으로 진도 고흥에서 전하는 사당패소리 <사랑타령(사랑가)>를 분석 비교하여 <어랑타령>의 고형 또는 변형임을 밝혔다. 분석을 종합하면 <어랑타령>은 황해도 사당패소리에서 기원한 선소리 계통 음악이라 할 수 있겠다. 황해도 선소리 <어랑타령>으로의 수정을 통해 앞서 보았던 몇 가지 의문점을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어랑타령>이 활발하게 보고되는 지역은 황해도 사당패의 주요 활동공간과 일치하며, 여러 현지자료에 새겨진 향토민요로의 수용에 따른 시간적 축적의 흔적은 근대 이전 사당패소리로의 전파양상을 통해 설명 할 수 있다. 20세기 예인들은 당대의 변화하는 시대상과 도시민의 정취를 반영한 노래를 생성하였으며, 특히 동해안 에 인접한 근대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노래로서 <어랑타령>이 채택되었다. 황해도 선소리패는 기존 자신들 의 연주곡목이었던 사당패소리 <어랑타령>을 토대로 근대적, 도시적 주제를 노랫말을 붙여 불렀을 것이고, <신고산타령>이라는 제목과 함께 ‘함경도민요’, ‘신민요’라는 인식은 이러한 맥락 위에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고찰에 근거하여 <어랑타령>은 황해도 선소리의 범주에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겠다.

A review of

Lee, Do-Hhyeon

This paper examines , known as the Hamgyeong-do folk song and new folk song(新民謠), analyzing and reviewing its spatial and genre identity. As it is well known, is music set in modern cities on the east coast, which developed rapidly with the opening of ports and railway construction in the 20th century. As the song was spread more widely among the general public, it appears that people started to perceive as having the identity of a Hamgyeong-do folk song and new folk song. However, based on the synthesized materials on folk songs currently available,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in Hamgyeong-do was relatively small and limited to the southern area adjacent to Gangwon-do, while having larger and more significant distribution in Hwanghae-do and Gangwon-do, where was enjoyed more actively. This raises doubts about the previously established spatial identity of linked with Hamgyeong-do. In addition, was found to bear marks of having been accumulated over an expanded period, unlike how other new folk songs that were accepted as part of folk songs. Therefore, it suggests the need to reconsider the classification of as a new folk song so far. Based on these examinations, this paper seeks to suggest the new spatial and genre identity of based on its lyrics and musical analysis available from various source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has a distinct feature of borrowing lyrics from class and class of songs, both belonging to Hwanghae-do Seon-sori(立唱). Additionally, this paper examines temporary changes in the rhythmic type and the emergence of Nae-deu-reum (a special introductory melody) in , which are characteristic of Seon-sori music. Changes in the range and motion of melody are investigated as well,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 distinguishing itself from existing forms of Menaritori. Finally, this paper establishes that the Sadangpae-sori(wandering artist group's music in traditional society) is an old form or a transformation of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Based on the analysis to be elucidated, it is concluded that is a Seon-sori type of music with its musical origin found in Sadangpae-sori in Hwanghae-do.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aforementioned doubtful points through this modification of into a Seon-sori type of music. The main distribution area of coincides with the major activity areas of the Hwanghae-do Sadangpae. It also becomes possible to explain the marks left in this song due to temporal accumulation as it was accepted earlier as part of folk songs, with the way it was spread to Sadangpae-sori in pre-modern times. In the 20th century, artists created songs reflecting the changing times and sentiments of city dwellers. In this context, was chosen by them as a song set in a modern city adjacent to the east coast. Hwanghae-do Seon-sori-pae sang lyrics with modern and urban themes based on their previous repertoire, Sadangpae-sori . It is guessed that the recognition of as a Hamgyeong-do folk song and a new folk song has formed in this context, with its another name, . However, based on this paper’s investigation, it seems more appropriate to understand as belonging to Hwanghae-do's Sadangpae-sori.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