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4 (2023)
pp.67~86

DOI : 10.35983/sikm.2023.74.67

18~20세기 충남지역 판소리의 전개

최혜진

(목원대학교 교수)

이 글은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판소리의 전개 양상을 살핀 것이다. 특히 18세기 판소리 형성기에 대한 논의를 중심에 두었다. 18세기는 최초의 명창으로 지목된 최선달과 최초의 <춘향가> 를 지은 유진한, 광대 원창과의 기록이 남은 신광수가 활약했던 시기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유진한과 신광 수는 각각 천안과 서천에서 문장가로 이름이 났으며, 함께 시회(詩會) 활동을 하며 당대 문화를 선도하였던 인물이다. 또한 이들은 남인계열로 실학 사상이 본격적으로 표면화되기 이전, 새로운 음악문화를 만들어내 면서 문화를 창출하고 음악적 실학을 실현했다. 본 논의에서는 당대 기록을 재해석하면서 그간의 오류를 바로잡고, 이들이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판소리 문화에 영향을 끼친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8세기 경 이들이 만들고 부른 판소리를 고제라 한다. 19세기에는 중고제의 시조 김성옥은 물론 염계달, 모흥갑, 송흥록 등이 경기 충청지역에서 활약했고, 많은 명창들이 창법과 장단을 개발하며 고제의 전통을 이어갔다. 이 시기의 소리를 우리는 중고제라 하고, 중고제는 20세기 중반까지 그 전통을 이어나갔다. 20세기 초에는 근대 명창으로 활약하던 심정순, 이동백, 김창룡 등이 판소리는 물론 창극운동을 이끌었지만, 동편제나 서편제 소리로 전승의 중심이 변화되었다. 하지만 20세기 충남지역 판소리 가문에서는 춤이나 연주 등의 가무악이 함께 전승되면서 중고제는 가무악 의 범위로 그 개념이 확대되고 있다.

Development of Pansori in Chungcheongnam-do in the 18th and 20th centuries

Choi, Hye-Jin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pansori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centered on the formative period of Pansori in the 18th century. It was noted that the 18th century was a time when Choi Seon-dal, who was designated as the first master singer, Yu Jin-han, who wrote the first , and Shin Gwang-soo, who has a record with the clown Won Chang, were active. Yu Jin-han and Shin Gwang-su were famous as writers in Cheonan and Seocheon, respectively, and were figures who led the culture of their time by participating in poetry associations together. In addition, they were part of the Namin faction and realized musical Silhak(實學) by creating a new musical culture and culture before Silhak ideology came to the surface in earnest. By reinterpreting the records of the time, errors were corrected and the influence they had on pansori culture, especially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was identified. The pansori they created and sang is called Goje. In the 19th century, Kim Seong-ok, the founder of Joonggoje, as well as Yeom Gye-dal, Mo Heung-gap, and Song Heung-rok, were active in the Chungcheong region of Gyeonggi Province, and many master singers continued the Goje tradition by developing singing methods and rhythms. The sound of this period is called Joonggoje, and Joonggoje continued its tradition until the mid-20th century. In the early 20th century, Shim Jeong-sun, Lee Dong-baek, and Kim Chang-ryong, who were active as modern singers, led the Changgeuk movement as well as pansori, but the center of transmission changed to Dongpyeonje and Seopyeonje songs. However, in the 20th century, in Pansori families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song and dance, such as dance and performance, were passed down together, and the concept of Joonggoje is expanding to the scope of song and dance.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