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3 (2023)
pp.245~278

DOI : 10.35983/sikm.2023.73.245

20세기 초반 가곡의 고착화 과정 검토

이동희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사)

본 연구는 20세기 초반에 나타나는 가곡의 고착화 과정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금오음 통론』, 『휘금가곡보』, 『학포금보』, 『방산한씨금보』 등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편찬된 민간악보 에서 가곡은 다양한 변주 선율을 수록하며 양적 팽창의 절정을 보였으며 이는 여창가곡에서도 매우 활발하 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생적으로 성장했던 풍류문화가 국권피탈 이후 쇠퇴하며 창곡의 분화가 일단락되었 고, 결국 『하규일 가곡보』, 『가곡금보』,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에 이르면서 1920년대 이후 가곡의 음악 적 특징은 개별 악곡 선율의 정착, 대표사설군 및 남녀창 한바탕의 정리, 여창 중심의 다양한 표현기법 추가, 노래선율의 악보화 및 반주선율의 총보화라는 네 가지로 집약된다. 세 고악보에 수록된 가곡은 결국 하규일 전창(傳唱)으로, 오늘날 연행되는 가곡의 직접적인 효시가 된다. 이러한 가곡의 고착화는 『시가요곡』, 『영화 초』, 『시조음률』, 연대본 『시조집』, 하순일본 『가곡원류』, 『가곡보감』 등 20세기에 편찬된 가집이 이전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정된 창곡을 수록하는 모습을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A Review of the Adhesion Process of Gagok So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Lee, Dong-He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dhesion process of gagok songs that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Korean old score establish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such as ‘Hyeongeum-oeumtongron,’ ‘Hwigeum Gagokbo,’ ‘Hakpogeumbo’, and ‘Bangsan Hansigeumbo,’ the Gagok songs showed the peak of quantitative expansion, including various variational melodies, which was also very active in female gagok song. However, as the naturally grown Pungryu culture declined after national sovereignty, the differentiation of repertoire ended, and since the 1920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gagok song have been aggregated into four categories: settlement of individual music melodies, compilation of male and female gagok song styles, compilation of a representative lyrical group, add a variety of expression techniques focusing on female gagok song and musical score of song melody and general score of accompaniment melody. The gagok song included in the three Korean old scores is eventually passed on songs by Ha Gyu-il, which is the direct beginning of the gagok song performed today. The adhesion of these gagok songs can also be understood through the appearance that the compilation compiled in the 20th century - ‘Sigayogok,’ ‘Yeonghwacho,’ ‘Sijoeumryul,’ ‘Sijojip,’ ‘Gagokwonryu’, ‘Gagokbogam’ and so on - contains relatively limited song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