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3 (2023)
pp.135~158

DOI : 10.35983/sikm.2023.73.135

형명 악기 나(鑼)와 바라(哱囉)에 대한 검토

박라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음악학 석사과정 수료)

형명(形名)은 군대를 지휘하고 통신하기 위한 각종 도구를 의미한다. 형(形)은 시각적 지휘 체계에 해당 하고, 명(名)은 청각적 신호 체계에 해당한다. 군영의 인원들은 오직 악기 소리와 깃발에 따라 명령을 수행 하였다. 형명 악기는 그 종류에 따라 음색 등의 특성을 달리하였으므로, 형명 악기는 신호와 직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군영에서는 다양한 형명 악기가 사용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중앙 군영에서 사용되 었던 나(鑼)와 바라(哱囉)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일반적으로 바라(哱囉)는 자바라로 인식되고, 나(鑼)는 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군영 관련 문헌에 나타나는 바라(哱囉)는 불어서 연주하는[吹奏] 악기였고, 나(鑼)는 오늘날의 징에 해당하는 금(金) 또는 정(鉦)과 구분되는 별개의 악기였다. 금ㆍ정ㆍ나(鑼)는 구별되는 악기였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금과 정은 통합되어 사용되었다. 나(鑼)는 정과 배[腹]의 유무 및 크기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악기였다. 나(鑼)와 정의 형태적 차이에 대한 서술은 『병학지남연의』와 『만기요람』 등에서 찾아볼 수 있고, 그 형태는 고종대 연향 의궤의 <내취악기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병학지남연의』의 내용을 통해, 이러한 형태 차이는 음향적 차이로 이어지는 주요 차별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나(鑼)는 징이 아닌 현재 전승되지 않는 개별 악기로 이해하여야 한다. 바라(哱囉)라는 형명 악기의 명칭은 조선 전기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 명칭과 기능은 임진왜란 이후 명나라 척계광의 『기효신서』와 『연병실기』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속병장도설』과 『만기요람』에 서는 나(螺)와 바라(哱囉)를 같은 악기라고 하였는데, 해당 문헌에 나타나는 나(螺)의 신호 체계가 바라와 동일하다는 것을 통해 『기효신서』와 『연병실기』에서 지시하는 바라(哱囉)는 소라[螺] 형태의 관악기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고종대까지 군영 관련 문헌에서는 한 가지 형태의 악기를 두고 나(螺)와 바라(哱囉)라는 명칭이 혼용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기존에 해당 악기를 나(螺)라고 칭하였던 것에서 비롯된 혼란으로 추정된다.

66) Examination of Hyeongmyeong instrument Na and Bara

Park, Ra-Hee

Hyeongmyeong(形名) refers to various tools used for commanding and communicating in the military. Hyeong(形) is a visual command system, and Myeong(名) is an auditory signal system. Soldiers followed commands solely based on sound and flags. Depending on their type, Hyeongmyeong instruments produced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tone, and were thus associated with sign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a variety of Hyeongmyeong instruments were used in military camps. This study examines Na(鑼) and Bara(哱囉), which were used in the central military camp. Currently, Bara(哱囉) is commonly recognized as Jabara(啫哱囉), and Na(鑼) is recognized as Jing. However, Bara(哱囉) mentioned in military literature was an wind instrument, and Na(鑼) was a distinct instrument from Geum (金) or Jeong(鉦), which are equivalent to today's Jing. Guem(金), Jeong(鉦), and Na(鑼) were all distinct instruments, but in the late Joseon period, Guem(金) and Jeong(鉦) were used interchangeably. Na(鑼) was different in form from Guem(金). Descriptions of Na(鑼) and Jeong(鉦) can be found in 『Byeonghak jinamyeonui(兵學指南演義)』 and 『Mangiyoram(萬機要覽)』 and their forms can be confirmed in Uigwe of . According to 『Byeonghakjinamyeonui(兵學指南演義)』, this was a significant distinguishing factor that resulted in acoustic differences. Therefore, Na(鑼)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dividual instrument that has not been transmitted to the present, rather than as Jing. The name and function of the Bara(哱囉) do not appear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name and function of Bara(哱囉) were handed down through 『Gihyosinseo』 and 『Yeon byeongsilgi』 written by Cheokgyegwang,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ok byeongjangdoseol(續兵將圖說)』 and 『Mangiyoram(萬機要覽)』 describe Na(螺) and Bara(哱囉) as the same instrument, and the signal system of Na(螺) in these documents is the same as that of Bara(哱囉). Therefore, the Bara(哱囉) instructed in 『Gihyosinseo(紀效新書)』 and 『Yeonbyeongsilgi(鍊兵實記)』 is Na(螺). Until the reign of King Gojong, military literature used Na and Bara interchangeably to refer to one type of instrument, and this confusion is estimated to have arisen from the previous naming of the instrument as Na(螺).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