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1 (2022)
pp.313~348

DOI : 10.35983/sikm.2022.71.313

『악학궤범』 대금 속악 칠지의 성격

이숙희

(전 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악학궤범』에서 대금의 속악 칠지는 권1의 12율배속호와 대금(권7) 산형의 두 곳에 제시되어 있다. 다만 12율배속호에는 속악 칠지가 姑/仲/林/南/應/潢/汰로 되어 있는 데 비해, 대금(권7) 산형에는 夾姑/仲 蕤/林/夷南/無應/潢/汏汰로 되어 있다. 즉 동일한 대금 속악 칠지인데도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만약 두 기록이 모두 옳다면 서로 정합해야 한다고 보고, 먼저 12율배속호와 대금(권7)의 안공법을 비교하고, 다음 에는 대금(권7) 산형과 60조도에서 속악 칠지에 해당하는 평조와 계면조의 구성음을 비교했으며,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금의 안공법을 비교하기 위해 먼저 12율배속호와 대금(권7)의 산형을 분석한 결과, 12율배속호 에는 속악 칠지의 전성, 반성, 청중청이 정확하게 구분되어 있고, 옥타브 구분 기준음이 황종으로 되어 있으며, 오음약보가 한 음만을 지시하고 있는 등 비교적 정확했다. 이에 비해 대금(권7) 산형에는 반성과 청중청의 음고 표시가 구분되어 있지 않았고, 옥타브 구분 기준음이 황종인 경우와 속악 칠조의 궁(key)인 경우의 두 종류가 있었다. 이것은 대금(권7) 산형의 불완전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당시 속악 칠지 관련 이론의 미비 혹은 오류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둘째, 12율배속호와 대금(권7)의 육지는 潢(궁)이 아니라 黃(하5)이며, 칠지는 汰(궁)이 아니라 太(하5) 라고 보았으며, 이것은 악조총의의 속악의 초성은 협종이라는 설명과 배치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셋째, 대금의 안공법을 비교한 결과, 대금(권7)과 12율배속호의 속악 칠지는 일치하지 않았으며, 대금(권 7) 산형에서 12율 7지형이 성립될 수 있는 근거를 찾지 못했다. 넷째, 대금(권7) 산형과 60조도의 속악 칠조 궁(key)에 해당하는 평조와 계면조의 구성음을 비교한 결과, 평조와 계면조의 구성음과 오음약보가 지시하는 음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평조와 계면조의 궁 (key)도 12율배속호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와같은 결과는 대금(권7) 산형의 오류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12율배속호와 대금(권7)의 대금 속악 칠지는 그 성격이 서로 다르다. 12율배속호의 7율 7지형 속악 칠지는 육지와 칠지에 문제가 있지만, 오음약보와 이에 따른 안공법에 문제가 없고, 옥타브 표시가 정확하 며, 가야금ㆍ향비파의 속악 칠지와 일치하는 점 등의 측면에서 대금(권7) 보다 상대적으로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대금(권7)의 12율 7지형 속악 칠지는 산형의 불완전성과 이론적 오류 외에도 안공법과 악조 구성음 비교 결과 서로 정합하지 않았다. 『악학궤범』의 속악 칠지 이론은 대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고 알려져 있는데, 대금(권7) 산형의 12율 7지형은 속악 칠지 이론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Daegeum Sokak 7 keys(宮) in Akhakguebeom(樂學軌範)

Yi, Suk-Hui

Sokak(俗樂) 7 Jis(指) of Daegeum(大笒) are introduced in 12 Yulbaesokho(12律配俗呼) in Volume 1 of Akhakguebeom and Sanhyeong of Daegeum(Volume 7). Their 7 keys(宮) are different between them with the former presenting them as Go(姑)/Jung(仲)/Rim (林)/Nam(南)/Eung(應)/Hwang(黃)/Tae(太) and the latter presenting them as Hyeop(夾)ㆍGo (姑)/Jung(仲)ㆍYu(蕤)/Rim(林)/I(夷)ㆍNam(南)/Mu(無)ㆍEung(應)/Hwang(黃)/Dae(大)ㆍ Tae(太). In other words, the 7 keys(宮) are different despite the same Sokak 7 Jis of Daegum.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7 keys(宮) of Sokak 7 Jis of Daegeum in these two types in Akhakguebeom by comparing 12 Yulbaesokhos and Daegum(Volume 7) in the fingering technique and Pyeongjo(平調) and Gyemyeonjo(界面調), which correspond to the 7 keys(宮) of Sokak 7 Jis in Daegeum(Volume 7) Sanhyeong(散形) and 60 Jodos(調圖), in component not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12 Yulbaesokhos and Daegeum(Volume 7) Sanhyeong to compare them in the Daegeum fingering technique and found that 12 Yulbaesokhos were relatively accurate with the technique, accurately distinguishing Jeonseong(全聲), Banseong (半聲), and Cheongjungcheong(淸中淸) of the 7 keys(宮) in Sokak 7 Jis and presenting Hwangjong as the standard note to distinguish octaves. On the other hand, Daegeum(Volume 7) Sanhyeong did not distinguish Banseong and Cheongjungcheong in pitch marks and presented both Hwangjong and the 7 keys(宮) of Sokak 7 Jis as the standard note to distinguish octaves, which shows the incompleteness of Daegeum(Volume 7) Sanhyeong and is attributed to the lack or error of theories about the 7 keys(宮) of Sokak 7 Jis those days. Second, both 12 Yulbaesokhos and Daegeum(Volume 7) understood that the 7 note(Gung) of Yukji(六指) was Hwang(黃, 下5) instead of Hwang(潢, 宮) and that the 7 note(Gung) of Chilji(七指) meant Tae(太, 下5) instead of Tae(汰, 宮). Third,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Daegeum fingering technique indicate that the 7 keys (宮) of Sokak 7 Jis in 12 Yulbaesokhos were Go/Jung/Rim/Nam/Eung/Hwang/Tae. Those of Daegeum(Volume 7) Sanhyeong did not match them. There were no grounds for the accomplishment of 12 Yul 7 Jihyeong(12律 7指形) in Daegeum(Volume 7) Sanhyeong. Finally, the study compared Daegeum(Volume 7) Sanhyeong with the component notes of Pyeongjo and Gyemyeonjo, which correspond to the 7 keys(宮) of Sokak 7 Jis of 60 Jodos, and found that they did not match in component notes in some cases. These comparison results did not match the 7 keys(宮) of Sokak 7 Jis in 12 Yulbaesokhos, either.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the error of Daegeum(Volume 7) Sanhyeong. Daegeum(Volume 7) Sanhyeong has some issues with the marks of pitches and standard notes to distinguish octaves. The comparison results based on the fingering technique and the component notes of tones show that the incompleteness of Daegeum(Volume 7) Sanhyeong is demonstrated by the parts where they did not match and the theoretical disagreement of 7 keys(宮) of Sokak 7 Jis in Daegeum(Volume 7). Their incompleteness is due to the lack and error of theories about the 7 keys(宮) of Sokak 7 Jis those days. In short, 12 Yulbaesokho presented the 7 keys of Daegeum Sokak 7 Jis as Go/Jung/Rim/Nam/Eung/Hwang/Tae in Akhakguebeom, but Daegeum(Volume 7) did not specify the 7 keys(Gungs) of Sokak 7 Jis, which means that it cannot be seen as 7 Yul 7 Jihyeong(7律 7指形) or 12 Yus and 7 Jihyeong.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