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975-4604

한국음악연구, Vol.71 (2022)
pp.211~247

DOI : 10.35983/sikm.2022.71.211

매화점장단의 구조와 원리

류속영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이 논문은 한국 전통 가곡의 장단에 관한 연구이다. 가곡장단에는 10점 단위로 반복해서 치는 장구장단 과 5점 단위로 반복해서 치는 매화점장단이 있다. 여기서 장구장단이란 가곡장단을 장구라는 악기로 쳐서 나타내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때 장구를 담당하 는 연행자는 장구 소리를 다른 연행자들에게 들려줌으로써, 노래와 관현반주가 서로 조화롭게 진행될 수 있게 해야 한다. 한편, 매화점장단은 가자(歌者)가 스스로 치는 가곡장단으로서, 여기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다. 이때 가자는 어떤 물체의 평면 위에 상하좌우 즉 동서남북과, 중앙이라는 다섯 방향의 각 지점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돌아가며 한 손으로 치게 된다. 그렇게 방향과 위치가 각기 다른 5개의 점을 치는 모양이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매화 꽃송이를 닮았다고 해서 매화점장단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1872년에 박효관이 편찬한 가곡원류에는 매화점장단의 악보가 그림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 5개의 점들이 세로로 ‘흑-백-흑-백-흑’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데, 여기서 흑점은 2박의 시가(時價)를 나타내 는 부호로서 ‘장(長)’점에 해당하고, 백점은 1박의 시가를 나타내는 부호로서 ‘단(短)’점에 해당한다. 매화점 장단의 반복 단위가 되는 5개의 점이 ‘장-단-장-단-장’의 순서로 배열되어서 8박 길이의 장단 토막 하나가 완성된다는 사실을 그렇게 표시했던 것이다. 그런데, 가곡원류에서 이 5개의 점들이 위치한 방향은 ‘중-좌-우-중-중’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형태는, 매화점장단을 ‘상-좌-우-중-하’의 순서로 쳐야 한다는 사실을 박효관 나름의 기보 방식으로 표현한 것일 따름이다. 아양금보에서처럼, 5개의 점을 상하좌우와 중앙에 각각 한 점씩 배치한 형태로 매화점장단의 모형을 그려놓고 점 안에 번호를 매겨 ‘상-좌-우-중-하’의 순서를 나타낸 사례도 있다. 중요한 것은, 매화점장단보에 표시된 5개의 점들이 ‘장-단-장-단-장’과 ‘상-좌-우-중-하’이 라는 두 가지 장단 체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매화점장단의 구조와 원리는 이 두 장단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Maewhajeom-jangdan

Ryu, Sok-Young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hythmic Pattern called Jangdan in Korean traditional Gagok. There are two types in Gagok-jangdan. One is Janggu-jangdan, which is the type played repeatedly by 10 spot unit. The other is Maehwajeom-jangdan, which is the type beaten by a unit of 5 spot. Janggu-jangdan means the way of playing Gagok-jangdan with beating musical instrument of janggu. The player of janggu plays the janggu first and lets the other musicians hear its sound before starting the performance. That’s because the player of janggu should lead the other players to sing or play his musical instrument in harmony. In contrast Maewhajeom-jangdan is the type that a singer himself beats the janggu and start singing to the beat. The singer sings beating 5 spots: north, south, east, west, middle of the surface of an object with one hand in a regular order. Such motions were thought to resemble the apricot flower which has five floral leaves and the name of Maewhajeom-jangdan stemmed from this. Gagokwollyu written by Park Hyogwan in 1872 contains musical notes of Maewhajeom-jangdan illustrated in which five dots are arranged in sequences of black-white-black-white-black color. The black dot marks binary beat, the white dot marks one beat. This musical notes tell us that Maewhajeom-jangdan use one unit which binds five dots with 8 beat.

Download PDF list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53동 213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880-7698      Fax: 02) 880-7698      E-mail: kmsmanager@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ALL RIGHTS RESERVED.